반응형
![](https://blog.kakaocdn.net/dn/cuzpOY/btrsxjSuW56/Fb2DF5clATSfrc8sSVmRaK/img.png)
얼마전 입춘이 지났다. 24절기 중 첫 절기인 입춘이 지나며 사방에 봄의 기운이 가득하길 빌게 된다.
입춘이 지나고 다음에 오는 절기가 '우수'이다. 겨울내 내리던 눈이 녹아서 비가 되는 절기로 비가 내리고 싹이 트기 시작한다.
우수즈음하여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음식의 기본인 장을 담갔다. 우수즈음에 담는 정월장을 제일로 여겼다고 하니 이 시기의 제일 큰 행사가 아니었을까 싶다.
장 담그는 날은 말일과 손 없는 날에 담갔다고 한다. 장 담그는 시기가 표시된 달력은 아래 본문에 있다.
비가 내리고 싹이 트는, 봄의 길목 우수 날짜
![](https://blog.kakaocdn.net/dn/blenZq/btrssDq4jae/Ik3BvIMQkuhFPChrdT5wKk/img.png)
내리는 비에 싹을 틔우는 우수는 양력 2월 19일 또는 20일에 든다. 2023년 우수는 2월 19일이다.
양력 달력으로 2월 후기쯤에 들어있다보니 가끔 꽃샘추위가 몰려오기도 하지만 슬슬 봄을 준비하는 날씨가 된다.
이 시기의 날씨는 건조한 날씨가 많다고 한다. 건조한 날씨는 농사를 짓는 옛 선조들에게 그다지 반가운 일은 아니다. 그렇다보니 이 시기에 내리는 눈을 '봄눈' 또는 '복눈'이라고 불렀으며 한 해의 길조, 풍년의 징후로 여겼다고 한다.
이 무렵에 농가에서는 농기계들을 손질하며 한 해의 농사를 준비한다. 또한 농사지을 씨를 확인하고 부족한 씨앗을 확보한다.
지금은 금지하는 행위이지만 옛날에는 이 즈음 논두렁, 밭두렁 태우기를 하였다고 한다. 농약이 변변찮던 옛날에 병충해를 막기 위한 방법이었다.
우수에 먹는 음식
![](https://blog.kakaocdn.net/dn/bxkTQd/btrsysasPS5/kyY31Hai2rqtKvOHyMxsD0/img.png)
농한기에 마지막즈음인 우수에 조상들은 장을 담갔다고 한다.
장은 담그는 달에 따라 정월장, 이월장, 사월장이라 부른다고 한다. 정월은 음력 1월을 가리키는 말로 우수 무렵 즈음에 담그는 정월장을 제일로 여겼다.
정월장이 제일인 이유는 장이 상하거나 변질의 염려가 적은 최적의 날씨에 담그기 때문이라고 한다. 아직 날은 쌀쌀하지만 민족 고유의 장은 이 시기에 많이 담갔다고 하니 추위에도 맛있고 건강한 장을 담그기 위한 선조들의 지혜가 엿보인다.
장을 담그는 날은 말날에 담그는게 좋다고 한다. 또는 손 없는 날 담그면 좋다.
십이지신이 그려져 있는 음력 달력을 보면 말 그림이 있는 날이 있는데 이 날을 말날이라고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5jKen/btrYj1uCAbY/xK3MH5eJKnVN0oV1LzoD5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tQOFl/btrYqMWWDvk/QGW1Zuargvu4wsb8hkRtz1/img.png)
말날에 장을 담그는 이유는 말날에 장을 담가야 말의 피처럼 장 색깔이 진하고 좋게 된다고 하여 음력 달에 십이지신 말이 든 날을 골라 담근다고 한다.
손 없는 날은 귀신이 없는 길일로 알려져 있어 이사, 결혼 등 중요한 날을 잡는다. 장은 일년 내 먹게되므로 역시 길일을 잡아 담갔다.
![](https://blog.kakaocdn.net/dn/cFqitj/btrYmuJyCYV/e25mgBFBc8GunAkOpjEAD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uG2wu/btrYjWz669H/SeuqVqdWN9RLftC4Tvpfc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EucV4/btrYlzxDz5i/3XkpCwsKS7HcZqSKuE5KU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hBWlK/btrYkK0BzAT/YFCXoihXQSyAkQEwbgWVRk/img.png)
장 담그는 시기인 2023년 말날
1월: 12일, 24일
2월: 정월장을 담글 수 있는 날로 5일, 17일
3월: 1일, 13일, 25일
4월: 6일, 18일, 30일
장 담그는 시기인 2023년 손 없는 날
1월: 10일, 11일, 20일, 21일, 30일, 31일
2월: 정월장을 담글 수 있는 날로 9일, 10일, 19일, 28일
3월: 1일, 10일, 11일, 20일, 21일, 30일, 31일
4월: 9일, 10일, 19일, 28일, 29일
또한 우수는 정월대보름과 시기가 비슷하여 부럼깨기, 오곡밥 지어먹기를 한다. 우수의 세시풍속은 정월대보름과 같은 활동을 많이 한다.
우수 관련 속담
![](https://blog.kakaocdn.net/dn/debBxm/btrssDkilxI/3zMX6u4ol5GmlH6zx3mNX0/img.png)
우수 뒤의 얼음 같이
- 우수가 지나면 아무리 춥던 날시도 누그러진다하여 얼음이 슬슬 녹아 없어짐을 이르는 말
우수 경칩에 대동강 풀린다
- 우수와 경칩이 지나면 아무리 춥던 날씨도 누구러져 봄기운이 돈다.
반응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백신 부작용? 백신 접종 후유증, 화이자, 모더나 생리 불순 - 생리불순 원인, 도움이 되는 음식 (1) | 2022.02.13 |
---|---|
2023년 정월대보름 날짜, 풍속, 음식, 놀이, 부럼, 나물, 속담, 소원빌기, 달맞이, 쥐불놀이, 오곡밥, 달집태우기 (1) | 2022.02.07 |
봄이 다가옴을 알리는 절기 2023 입춘(立春) 날짜 및 풍습, ‘재봉춘’, ‘쌍춘년’, 입춘축 <입춘대길 건양다경>, <개문만복래 소지황금출> (0) | 2022.01.20 |
복주머니 링크 보내기 - 복주머니를 보내고 덕담을 받아요! 새해 복 많이 주세요~ 복주머니 챌린지 / 복주머니 바로가기 (0) | 2022.01.13 |
초등학교 지각, 조퇴, 결석(출석인정 결석), 교외체험학습 알아보기 (2) | 2021.12.28 |
댓글